Skip to main content
Glama

Project Portfolio Guide MCP Server

by wonnyboi
project_portfolio_guide.md17.4 kB
# SSAFY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정보 수집 가이드라인 ## MCP 에이전트 초기화 프로세스 ### 1. 데이터 폴더 확인 ```bash if [ ! -d "project_data" ]; then echo "프로젝트 데이터를 저장할 폴더가 없습니다." echo "프로젝트 데이터 폴더를 생성하시겠습니까? (y/n)" # 사용자 입력 대기 fi ``` ### 2. 프로젝트 데이터 확인 ```bash if [ -d "project_data" ]; then # 프로젝트 데이터 존재 여부 확인 if [ -z "$(ls -A project_data)" ]; then echo "저장된 프로젝트가 없습니다." echo "새 프로젝트를 추가하시겠습니까? (y/n)" else echo "저장된 프로젝트가 있습니다." fi fi ``` ### 3. 기능 선택 프로젝트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다음 기능들이 활성화됩니다: 1. 프로젝트 추가 - 새 프로젝트 정보 수집 - 기존 프로젝트 수정 - 프로젝트 삭제 2. 자기소개서 작성 (프로젝트 데이터 필요) - 프로젝트 기반 자기소개서 작성 - 자기소개서 수정 - 자기소개서 삭제 3. 면접 준비 (프로젝트 데이터 필요) - 프로젝트 기반 면접 질문 생성 - 면접 답변 연습 - 면접 피드백 4. 포트폴리오 작성 (프로젝트 데이터 필요) - 프로젝트 기반 포트폴리오 작성 - 포트폴리오 수정 - 포트폴리오 삭제 ## 프로젝트 정보 수집 프로세스 ## 질문 방식 안내 본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진행됩니다: 1. 순차적 질문 - 한 번에 하나의 질문만 진행 - 사용자의 답변을 받은 후에만 다음 질문 진행 - 복수 선택이 가능한 경우에도 한 번에 하나의 선택만 요청 2. 구체적 답변 유도 - 각 질문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나 설명을 포함 - "어떻게", "왜" 등의 질문을 통해 상세한 답변 유도 3. 역할 기반 분기 - 선택한 역할에 따라 관련된 질문으로 자연스럽게 전환 - 각 역할별 핵심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질문 구성 4. 피드백 기반 진행 - 사용자의 답변을 바탕으로 추가 질문 구성 - 답변의 맥락을 고려한 자연스러운 대화 흐름 유지 ## 프로젝트 정보 저장 프로시저 ### 1. 저장 방식 선택 1. 단일 파일 방식 - 모든 정보를 하나의 MD 파일에 순차적으로 기록 - 장점: 전체 맥락 파악이 용이, 관리가 간단 - 단점: 파일이 길어질 수 있음 2. 분리 파일 통합 방식 - 인터뷰 중에는 각 섹션별로 분리된 파일에 기록 - 인터뷰 완료 후 하나의 통합 파일로 병합 - 장점: 섹션별 관리가 용이, 병렬 작업 가능 - 단점: 통합 과정에서 추가 작업 필요 ### 2. 디렉토리 및 파일 초기화 1. 프로젝트 디렉토리 생성 ```bash mkdir -p project_portfolio/projects/{project_name} ``` 2. 포트폴리오 파일 생성 ```bash touch project_portfolio/projects/{project_name}/portfolio.md ``` 3. 초기 파일 내용 작성 ```markdown # {프로젝트명} 포트폴리오 정보 ## 1. 기본 정보 - 프로젝트 유형: (선택된 유형) - 세부 트랙: (선택된 트랙) - 프로젝트 기간: (추후 입력) - 팀 구성: (추후 입력) ## 2. 역할별 정보 (각 역할별 섹션 준비) ## 3. 기술적 상세 정보 (추후 입력) ## 4. KPT 회고 (추후 입력) ``` 4. 진행 상태 파일 생성 (선택사항) ```bash touch project_portfolio/projects/{project_name}/progress.md ``` ```markdown # 진행 상태 ## 완료된 섹션 - [ ] 기본 정보 - [ ] 역할별 정보 - [ ] 기술적 상세 정보 - [ ] KPT 회고 ## 다음 진행할 질문 (현재 진행 중인 질문) ``` ### 3. 단일 파일 저장 형식 ```markdown # {프로젝트명} 포트폴리오 정보 ## 1. 기본 정보 - 프로젝트 유형: {공통/특화/자율} - 세부 트랙: {선택한 트랙} - 프로젝트 기간: {시작일} ~ {종료일} - 팀 구성: {팀원 수}명 ## 2. 역할별 정보 ### 2.1 {역할명} #### Q1. {질문} {답변} #### Q2. {질문} {답변} ### 2.2 {역할명} ... ## 3. 기술적 상세 정보 ... ## 4. KPT 회고 ... ``` ### 4. 분리 파일 저장 형식 각 섹션별 파일은 다음 형식을 따릅니다: ```markdown # {섹션 제목} ## 질문 {질문 내용} ## 답변 {사용자 답변} ## 추가 정보 - 수집 일시: {timestamp} - 질문 컨텍스트: {이전 질문/답변 맥락} ``` ### 5. 통합 프로세스 1. 인터뷰 완료 후 통합 작업 - 모든 분리 파일의 내용을 하나의 MD 파일로 병합 - 섹션 간 연결성 확보 - 중복 내용 제거 - 일관된 포맷팅 적용 2. 최종 검토 - 전체 내용의 일관성 확인 - 섹션 간 연결성 확인 - 포맷팅 통일성 확인 ## 1. 자동 수집 정보 (GitHub 저장소) ### A. 기본 저장소 정보 - 저장소 URL - 브랜치 구조 - 기여도 통계 - 사용된 프로그래밍 언어 ### B. README.md 파일 분석 1. 서비스 개요 - 서비스 소개 - 기획 배경/문제 정의 - 서비스 목표/기대 효과 2. 프로젝트 상세 - 주요 기능 목록 - 기술 스택 - 시스템 아키텍처 3. 팀 정보 - 팀원 및 역할 분담 - 프로젝트 기간 4. 프로젝트 성과 - 수상 실적 - 주요 달성 목표 - 프로젝트 결과물 ## 2. 사용자 입력 정보 ### 1단계: 프로젝트 유형 선택 Q1. 프로젝트 유형을 선택해주세요: 1. 공통 프로젝트 2. 특화 프로젝트 3. 자율 프로젝트 [공통 프로젝트 선택 시] Q2. 공통 프로젝트 트랙을 선택해주세요: 1. WebRTC 2. 웹디자인(SNS) 3. AIoT 4. 모바일 [특화 프로젝트 선택 시] Q2. 특화 프로젝트 트랙을 선택해주세요: 1. 인공지능(영상) 2. 인공지능(음성) 3. 빅데이터(추천) 4. 빅데이터(분산) 5. 블록체인(P2P) 6. 블록체인(디지털 화폐) 7. 모빌리티(스마트홈) 8. 모빌리티(자율주행) 9. 메타버스(게임) 10. 핀테크 [자율 프로젝트 선택 시] Q2. 자율 프로젝트 유형을 선택해주세요: 1. 자유주제 2. 오픈소스 3. 기업연계 ### 1.5단계: GitHub 저장소 정보 Q3. 프로젝트의 GitHub 저장소 URL을 입력해주세요: (예: https://github.com/username/repository) GitHub 홈페이지: [GitHub.com](https://github.com) Q4. GitHub 토큰 확인: 1. 기존 토큰 확인 -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에 '.env' 파일이 있는지 확인 - 파일이 있다면 토큰 유효성 검사 진행 - 파일이 없다면 새 토큰 생성 안내 2. 토큰 생성 방법 (필요한 경우): - [GitHub.com](https://github.com) → Settings → Developer settings → Personal access tokens → Tokens (classic) - 'Generate new token' 클릭 - Note: 'MCP Portfolio Access' 입력 - Expiration: 'No expiration' 선택 - Select scopes: 'repo' 체크 - 'Generate token' 클릭 - 생성된 토큰을 복사 3. 토큰 저장: -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에 '.env' 파일 생성 - 아래 템플릿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: ``` GITHUB_TOKEN=your_github_token_here ``` - 'your_github_token_here' 부분을 복사한 토큰으로 교체 - 파일 권한 설정: chmod 600 .env 기존 토큰이 있으신가요? (y/n) ### 1.6단계: 저장소 분석 토큰 설정이 완료되면, 저장소 분석을 시작합니다. 잠시만 기다려주세요. 분석 중인 정보: - 저장소 기본 정보 (URL, 브랜치 구조, 기여도) - 기술 스택 (언어, 프레임워크, 도구) - 프로젝트 기능 및 도전 과제 - 팀 정보 및 프로젝트 기간 - 프로젝트 성과 및 결과물 분석이 완료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겠습니다. ### 2단계: 역할 및 담당 영역 [팀장/프로젝트 관리자 선택 시] Q1.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선택해주세요: 1. 애자일/스크럼 2. 워터폴 3. 하이브리드 4. 기타 (직접 입력) Q2. 선택하신 방법론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. 예시: - 스프린트/스크럼 회의 진행 방식 - 일정 관리 방법 - 팀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-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방식 - 리스크 관리 방법 [프론트엔드 개발자 선택 시] Q3. 프로젝트에서 본인의 역할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팀장/프로젝트 관리 2. 프론트엔드 개발 3. 백엔드 개발 4. 모바일 개발 5. AI/ML 엔지니어 6. 데이터 엔지니어 7. 임베디드 개발 8. UI/UX 디자인 9. DevOps/인프라 관리 10. 기타 (직접 입력) [모바일 개발자 선택 시] Q4-2. 구현한 주요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: 1. 사용자 인터페이스 - 어떤 컴포넌트를 어떻게 구현했는지 -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설계 방법 - 반응형/적응형 구현 방식 - 애니메이션/인터랙션 구현 방법 2. 상태 관리 - 어떤 상태 관리 도구를 사용했는지 - 상태 구조 설계 방법 - 비동기 데이터 처리 방식 - 전역 상태와 지역 상태 구분 방법 3. API 연동 - API 호출 구조 설계 - 에러 처리 방식 - 로딩 상태 관리 - 캐싱 전략 [모바일 개발자 선택 시] Q4-1. 담당한 주요 화면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메인 화면 2. 사용자 인증 화면 3. 데이터 목록/상세 화면 4. 설정 화면 5. 기타 (직접 입력) Q4-2. 구현한 주요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: 1. UI/UX 구현 - 네이티브/크로스 플랫폼 선택 이유 - 화면 전환 및 애니메이션 - 사용자 제스처 처리 - 오프라인 지원 2. 상태 관리 - 상태 관리 도구 선택 - 로컬 데이터 저장 - 백그라운드 처리 - 메모리 관리 3. 네트워크 통신 - API 통신 구조 - 실시간 데이터 처리 - 푸시 알림 - 보안 처리 [AI/ML 엔지니어 선택 시] Q4-1. 담당한 AI 모델 영역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이미지 처리/분류 2. 자연어 처리 3. 음성 처리 4. 추천 시스템 5. 예측 모델 6. 기타 (직접 입력) Q4-2. 구현한 주요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: 1. 모델 개발 - 모델 아키텍처 선택 이유 -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방법 - 학습 데이터 구성 - 평가 지표 선택 2. 데이터 처리 - 데이터 전처리 방법 - 데이터 증강 기법 - 특성 엔지니어링 - 데이터 품질 관리 3. 모델 최적화 - 모델 경량화 방법 - 추론 속도 개선 -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 - 배포 환경 최적화 [데이터 엔지니어 선택 시] Q4-1. 담당한 데이터 영역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데이터 수집/저장 2. 데이터 처리/분석 3. 데이터 시각화 4. 추천 시스템 5. 분산 처리 6. 기타 (직접 입력) Q4-2. 구현한 주요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: 1. 데이터 파이프라인 - 데이터 수집 방법 - ETL 프로세스 - 데이터 저장 구조 - 실시간/배치 처리 2. 데이터 분석 - 분석 방법론 - 시각화 도구 - 인사이트 도출 - 성능 최적화 3. 시스템 구축 - 분산 시스템 설계 - 확장성 확보 - 모니터링 - 장애 대응 [임베디드 개발자 선택 시] Q4-1. 담당한 하드웨어 영역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센서 제어 2. 모터 제어 3. 통신 모듈 4. 디스플레이 5. 기타 (직접 입력) Q4-2. 구현한 주요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: 1. 하드웨어 제어 - 하드웨어 선택 이유 - 제어 방식 - 인터페이스 설계 - 성능 최적화 2. 펌웨어 개발 - RTOS 사용 여부 - 태스크 설계 - 메모리 관리 - 전력 관리 3. 통신 구현 - 통신 프로토콜 - 데이터 처리 - 에러 처리 - 보안 구현 ### 3단계: QA 및 마무리 [프론트엔드 개발자 선택 시] Q5. 테스트 및 품질 관리에서 수행한 작업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단위 테스트 작성 2. E2E 테스트 구현 3. 크로스 브라우저 테스트 4. 성능 프로파일링 5. 접근성(a11y) 테스트 6. 사용자 테스트 진행 7. 기타 (직접 입력) Q6. 프로젝트 완료 후 개선한 부분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코드 리팩토링 2. 성능 최적화 3. 사용자 경험 개선 4. 문서화 5. 배포 프로세스 개선 6. 기타 (직접 입력) [백엔드 개발자 선택 시] Q5. 테스트 및 품질 관리에서 수행한 작업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단위 테스트 작성 2. 통합 테스트 구현 3. 부하 테스트 4. 보안 테스트 5. API 문서화 6.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7. 기타 (직접 입력) Q6. 프로젝트 완료 후 개선한 부분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코드 리팩토링 2. 성능 최적화 3. 보안 강화 4. 확장성 개선 5. 문서화 6. 기타 (직접 입력) [AI/ML 엔지니어 선택 시] Q5. 테스트 및 품질 관리에서 수행한 작업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모델 검증 2. 데이터 품질 검증 3. 추론 성능 테스트 4. 엣지 케이스 테스트 5. 모델 설명 가능성 검증 6. 사용자 피드백 수집 7. 기타 (직접 입력) Q6. 프로젝트 완료 후 개선한 부분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모델 최적화 2. 데이터 품질 개선 3. 추론 속도 개선 4. 모델 경량화 5. 문서화 6. 기타 (직접 입력) ### 4단계: 프로젝트 성장과 성과 [모든 역할 공통] Q7. 프로젝트를 통해 가장 크게 성장한 부분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기술적 역량 -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/프레임워크 습득 - 아키텍처 설계 능력 향상 - 문제 해결 능력 향상 - 코드 품질 개선 능력 2. 프로젝트 관리 역량 - 일정 관리 능력 - 리스크 관리 능력 - 팀 협업 능력 - 커뮤니케이션 능력 3. 도메인 지식 - 비즈니스 이해도 향상 -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능력 - 시장 트렌드 이해 Q8. 프로젝트의 주요 성과를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기술적 성과 - 성능 개선 달성 - 기술적 문제 해결 - 혁신적인 기능 구현 - 코드 품질 향상 2. 비즈니스 성과 - 사용자 만족도 향상 - 서비스 안정성 확보 - 운영 효율성 개선 - 비용 절감 3. 팀 성과 - 프로젝트 완수 - 팀 협업 강화 - 지식 공유 문화 확립 - 멘토링/코칭 Q9.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도전과 극복 과정을 선택해주세요: 1. 기술적 도전 - 성능 이슈 해결 - 기술 스택 통합 - 보안 문제 해결 - 확장성 확보 2. 프로젝트 관리 도전 - 일정 관리 - 팀 커뮤니케이션 - 리스크 관리 - 리소스 관리 3. 비즈니스 도전 - 요구사항 변경 대응 - 사용자 피드백 반영 - 시장 변화 대응 - ROI 달성 ### 5단계: KPT 회고 [모든 역할 공통] Q10. 프로젝트에서 유지하고 싶은 부분(Keep)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기술적 측면 - 사용한 기술 스택 - 아키텍처 설계 - 개발 프로세스 - 코드 품질 관리 방법 2. 프로젝트 관리 측면 - 팀 협업 방식 - 커뮤니케이션 방법 - 일정 관리 방식 - 회의 진행 방식 3. 개인 성장 측면 - 학습한 기술/지식 - 습득한 경험 - 발전한 역량 - 네트워킹 Q11. 프로젝트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(Problem)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기술적 측면 - 아키텍처 설계 - 기술 스택 선택 - 코드 품질 - 성능 이슈 2. 프로젝트 관리 측면 - 일정 관리 - 팀 협업 - 커뮤니케이션 - 리스크 관리 3. 개인 성장 측면 - 기술 역량 - 소프트 스킬 - 시간 관리 - 스트레스 관리 Q12. 다음 프로젝트에서 시도하고 싶은 부분(Try)을 선택해주세요 (복수 선택 가능): 1. 기술적 측면 - 새로운 기술 스택 - 아키텍처 개선 - 개발 프로세스 - 테스트 방법론 2. 프로젝트 관리 측면 - 협업 도구 - 커뮤니케이션 방식 - 일정 관리 방법 - 문서화 방식 3. 개인 성장 측면 - 새로운 역할 - 리더십 - 멘토링 - 기술 학습 ## 3. 추가 설명 각 질문에 대해 선택한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입력해주세요. 예시: - 어떤 방식으로 구현했는지 -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-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- 어떤 교훈을 얻었는지 이러한 상세 설명은 자기소개서, 면접 준비, 포트폴리오 작성 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

MCP directory API

We provide all the information about MCP servers via our MCP API.

curl -X GET 'https://glama.ai/api/mcp/v1/servers/wonnyboi/ssafy_project_mcp'

If you have feedback or need assistance with the MCP directory API, please join our Discord serv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