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elopment-plan.md•25.9 kB
# 🏢 종목 상세정보 MCP 서버 개발 계획서
## 1. 프로젝트 개요
### 1.1 목적
한국 상장기업의 종합적인 기업 정보, 재무 데이터, 투자 지표를 제공하는 MCP 서버 구축
### 1.2 범위
- 기업 기본 정보 및 연혁
- 재무제표 및 재무비율 분석
- 주주 현황 및 지배구조
- 사업 부문별 실적 분석
- 경쟁사 비교 분석
- 애널리스트 컨센서스
- ESG 평가 정보
- 기업 이벤트 및 공시 이력
### 1.3 기술 스택
- **언어**: Python 3.11+
- **MCP SDK**: mcp-python
- **데이터 소스**: DART, KRX, FnGuide, NICE평가정보
- **데이터베이스**: PostgreSQL + TimescaleDB
- **캐싱**: Redis + 메모리 캐시
- **분석**: pandas, numpy, scipy
- **시각화**: plotly, matplotlib
- **API**: FastAPI (내부 API)
## 2. 서버 아키텍처
```
mcp-stock-detail/
├── src/
│ ├── server.py # MCP 서버 메인
│ ├── tools/ # MCP 도구 정의
│ │ ├── __init__.py
│ │ ├── company_tools.py # 기업 정보 도구
│ │ ├── financial_tools.py # 재무 정보 도구
│ │ ├── shareholder_tools.py # 주주/지배구조 도구
│ │ ├── business_tools.py # 사업부문 도구
│ │ ├── peer_tools.py # 경쟁사 비교 도구
│ │ ├── analyst_tools.py # 애널리스트 도구
│ │ └── esg_tools.py # ESG 도구
│ ├── collectors/ # 데이터 수집
│ │ ├── __init__.py
│ │ ├── dart_collector.py # DART 수집
│ │ ├── krx_collector.py # KRX 수집
│ │ ├── fnguide_collector.py # FnGuide 수집
│ │ └── nice_collector.py # NICE 수집
│ ├── analyzers/ # 분석 엔진
│ │ ├── __init__.py
│ │ ├── financial_analyzer.py # 재무 분석
│ │ ├── valuation_analyzer.py # 밸류에이션
│ │ ├── peer_analyzer.py # 동종업계 분석
│ │ ├── growth_analyzer.py # 성장성 분석
│ │ └── risk_analyzer.py # 리스크 분석
│ ├── models/ # 데이터 모델
│ │ ├── __init__.py
│ │ ├── company.py # 기업 모델
│ │ ├── financial.py # 재무 모델
│ │ └── shareholder.py # 주주 모델
│ ├── utils/
│ │ ├── cache.py # 캐시 관리
│ │ ├── formatter.py # 데이터 포맷팅
│ │ ├── calculator.py # 지표 계산
│ │ └── validator.py # 데이터 검증
│ ├── config.py # 설정
│ └── exceptions.py # 예외
├── tests/
│ ├── test_tools.py
│ ├── test_analyzers.py
│ └── test_integration.py
├── requirements.txt
├── .env.example
└── README.md
```
## 3. 핵심 기능 명세
### 3.1 제공 도구 (Tools)
#### 1) `get_company_overview`
기업의 기본 정보와 개요를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정보:**
- 기본 정보 (설립일, 대표이사, 직원수 등)
- 사업 개요 및 주요 제품/서비스
- 연혁 및 주요 이정표
- 계열사 및 자회사 현황
- 신용등급 및 평가
- 최근 주요 뉴스 및 이벤트
#### 2) `get_financial_statements`
상세 재무제표 및 재무비율을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기능:**
- 3개년 이상 재무제표 (연간/분기)
- 재무비율 계산 및 트렌드
- 동종업계 평균 대비 비교
- 재무 건전성 평가
- 현금흐름 분석
- 세부 계정과목 breakdown
#### 3) `get_shareholder_info`
주주 현황 및 지배구조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정보:**
-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현황
- 주주 구성 변동 추이
- 이사회 구성 및 독립성
- 주식 분포 현황 (기관/외국인/개인)
- 자사주 현황 및 정책
- 배당 이력 및 정책
#### 4) `get_business_segments`
사업 부문별 상세 분석을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기능:**
- 사업부문별 매출/이익 breakdown
- 제품/서비스별 실적 추이
- 지역별 매출 분포
- 주요 고객사 및 공급망
- 부문별 시장점유율
- 성장 동력 분석
#### 5) `get_peer_comparison`
동종업계 경쟁사 비교 분석을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분석:**
- 주요 경쟁사 식별 및 매핑
- 재무지표 비교 (매출, 이익률, ROE 등)
- 밸류에이션 비교 (PER, PBR, EV/EBITDA)
- 시장점유율 비교
- 성장률 비교
- 상대적 강점/약점 분석
#### 6) `get_analyst_consensus`
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및 투자의견을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정보:**
- 목표주가 컨센서스
- 투자의견 분포 (Buy/Hold/Sell)
- 실적 추정치 (매출/이익)
- 주요 애널리스트 의견
- 컨센서스 변화 추이
- 실적 대비 서프라이즈 이력
#### 7) `get_valuation_metrics`
종합적인 밸류에이션 지표를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지표:**
- 주가 배수 (PER, PBR, PSR, PCR)
- 기업가치 배수 (EV/EBITDA, EV/Sales)
- DCF 기반 적정주가
- 상대가치 평가
- 히스토리컬 밸류에이션 밴드
- 할인/프리미엄 분석
#### 8) `get_esg_info`
ESG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정보:**
- ESG 종합 등급 및 점수
- 환경(E) 부문 상세 평가
- 사회(S) 부문 상세 평가
- 지배구조(G) 부문 상세 평가
- ESG 개선 추이
-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요약
#### 9) `get_technical_indicators`
기술적 지표 및 차트 패턴을 제공하는 도구
**주요 분석:**
- 주요 기술적 지표 (이동평균, RSI, MACD 등)
- 지지/저항 레벨
- 차트 패턴 인식
- 거래량 분석
- 투자심리 지표
- 기술적 전망
#### 10) `get_risk_analysis`
종목의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는 도구
**주요 분석:**
- 시장 리스크 (베타, 변동성)
- 재무 리스크 (부채비율, 유동성)
- 사업 리스크 (집중도, 경쟁)
- 규제 리스크
- 지정학적 리스크
- 리스크 스코어 및 등급
## 4. 데이터 수집 및 통합
### 4.1 데이터 소스
- **DART**: 공시 정보, 재무제표
- **KRX**: 시장 데이터, 투자지표
- **FnGuide**: 애널리스트 리포트, 컨센서스
- **NICE평가정보**: 신용등급, 기업평가
- **한국거래소**: 주주 현황, 거래 정보
- **금융감독원**: 기업 신고서
- **자체 수집**: 뉴스, SNS, 특허 정보
### 4.2 데이터 통합 전략
- 멀티소스 크로스 체크
- 데이터 품질 검증
- 실시간/배치 하이브리드
- 버전 관리 및 이력 추적
- 데이터 보강 및 추론
## 5. 분석 엔진
### 5.1 재무 분석 엔진
- **재무비율 계산**: 100+ 지표
- **트렌드 분석**: 시계열 분석
- **이상치 탐지**: 분식회계 징후
- **예측 모델**: 실적 예측
- **시나리오 분석**: What-if 분석
### 5.2 밸류에이션 엔진
- **절대가치 평가**: DCF, DDM, RIM
- **상대가치 평가**: Multiple 분석
- **몬테카를로**: 확률적 평가
- **민감도 분석**: 주요 변수 영향
- **적정주가 산출**: 종합 평가
### 5.3 동종업계 분석 엔진
- **피어 그룹 선정**: ML 기반 클러스터링
- **상대적 포지셔닝**: 경쟁력 매핑
- **벤치마킹**: Best practice 분석
- **격차 분석**: Performance gap
- **시장 구조 분석**: 집중도, 진입장벽
### 5.4 리스크 분석 엔진
- **VaR 계산**: Value at Risk
- **스트레스 테스트**: 극단 시나리오
- **신용 리스크**: 부도 확률
- **유동성 리스크**: 자금 흐름
- **통합 리스크 스코어**: 종합 평가
## 6. 데이터베이스 설계
### 6.1 주요 테이블 구조
```sql
-- 기업 기본 정보
CREATE TABLE companies (
company_code VARCHAR(10) PRIMARY KEY,
company_name VARCHAR(100) NOT NULL,
company_name_eng VARCHAR(100),
stock_code VARCHAR(10),
market_type VARCHAR(20),
industry_code VARCHAR(10),
establishment_date DATE,
ipo_date DATE,
fiscal_month INT,
ceo_name VARCHAR(50),
employee_count INT,
capital BIGINT,
homepage VARCHAR(200),
address VARCHAR(300),
phone VARCHAR(50),
description TEXT,
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upd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
);
-- 재무제표
CREATE TABLE financial_statements (
id SERIAL PRIMARY KEY,
company_code VARCHAR(10) NOT NULL,
fiscal_year INT NOT NULL,
fiscal_quarter INT,
report_type VARCHAR(20),
account_code VARCHAR(50),
account_name VARCHAR(100),
amount BIGINT,
currency VARCHAR(3),
is_consolidated BOOLEAN,
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FOREIGN KEY (company_code) REFERENCES companies(company_code)
);
-- 재무비율
CREATE TABLE financial_ratios (
id SERIAL PRIMARY KEY,
company_code VARCHAR(10) NOT NULL,
fiscal_year INT NOT NULL,
fiscal_quarter INT,
ratio_category VARCHAR(50),
ratio_name VARCHAR(50),
ratio_value DECIMAL(20,4),
industry_avg DECIMAL(20,4),
percentile INT,
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FOREIGN KEY (company_code) REFERENCES companies(company_code)
);
-- 주주 현황
CREATE TABLE shareholders (
id SERIAL PRIMARY KEY,
company_code VARCHAR(10) NOT NULL,
record_date DATE NOT NULL,
shareholder_name VARCHAR(100),
shareholder_type VARCHAR(50),
share_count BIGINT,
share_ratio DECIMAL(5,2),
is_related_party BOOLEAN,
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FOREIGN KEY (company_code) REFERENCES companies(company_code)
);
-- 사업부문
CREATE TABLE business_segments (
id SERIAL PRIMARY KEY,
company_code VARCHAR(10) NOT NULL,
fiscal_year INT NOT NULL,
segment_name VARCHAR(100),
revenue BIGINT,
operating_profit BIGINT,
revenue_ratio DECIMAL(5,2),
profit_margin DECIMAL(5,2),
yoy_growth DECIMAL(10,2),
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FOREIGN KEY (company_code) REFERENCES companies(company_code)
);
-- 애널리스트 컨센서스
CREATE TABLE analyst_consensus (
id SERIAL PRIMARY KEY,
company_code VARCHAR(10) NOT NULL,
consensus_date DATE NOT NULL,
analyst_count INT,
buy_count INT,
hold_count INT,
sell_count INT,
target_price_avg DECIMAL(20,2),
target_price_high DECIMAL(20,2),
target_price_low DECIMAL(20,2),
eps_estimate DECIMAL(20,2),
revenue_estimate BIGINT,
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FOREIGN KEY (company_code) REFERENCES companies(company_code)
);
-- ESG 평가
CREATE TABLE esg_scores (
id SERIAL PRIMARY KEY,
company_code VARCHAR(10) NOT NULL,
evaluation_date DATE NOT NULL,
evaluation_agency VARCHAR(50),
overall_grade VARCHAR(5),
overall_score DECIMAL(5,2),
environmental_score DECIMAL(5,2),
social_score DECIMAL(5,2),
governance_score DECIMAL(5,2),
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FOREIGN KEY (company_code) REFERENCES companies(company_code)
);
-- 인덱스
CREATE INDEX idx_financial_company_year ON financial_statements(company_code, fiscal_year);
CREATE INDEX idx_ratios_company_year ON financial_ratios(company_code, fiscal_year);
CREATE INDEX idx_shareholders_company_date ON shareholders(company_code, record_date);
CREATE INDEX idx_consensus_company_date ON analyst_consensus(company_code, consensus_date);
```
## 7. API 설계
### 7.1 MCP 도구 인터페이스
각 도구는 표준화된 입출력 형식을 따르며, 다음과 같은 공통 파라미터를 지원:
- `company_code`: 기업 코드 (필수)
- `period`: 조회 기간 (기본값: 3년)
- `include_forecast`: 예측 정보 포함 여부
- `comparison_group`: 비교 그룹 (동종업계/사용자정의)
- `output_format`: 출력 형식 (json/table/chart)
### 7.2 응답 형식
모든 응답은 다음 구조를 따름:
```json
{
"status": "success",
"timestamp": "2024-01-10T10:30:00+09:00",
"data": {
// 도구별 데이터
},
"metadata": {
"source": ["DART", "KRX"],
"last_updated": "2024-01-10T09:00:00+09:00",
"data_quality": 0.95,
"completeness": 0.98
},
"warnings": [],
"related_tools": []
}
```
## 8. 캐싱 전략
### 8.1 계층적 캐싱
- **L1 캐시**: 메모리 (1분)
- **L2 캐시**: Redis (1시간)
- **L3 캐시**: PostgreSQL (1일)
### 8.2 캐시 정책
- **정적 데이터**: 장기 캐싱 (기업정보, 과거 재무)
- **동적 데이터**: 단기 캐싱 (주가, 컨센서스)
- **실시간 데이터**: 캐싱 안함 (호가, 체결)
- **무효화**: 이벤트 기반 + TTL
## 9. 성능 최적화
### 9.1 쿼리 최적화
- 인덱스 전략
- 파티셔닝 (연도별)
- Materialized View
- 쿼리 플랜 최적화
- Connection Pooling
### 9.2 데이터 처리 최적화
- 배치 처리
- 병렬 처리
- 증분 업데이트
- 압축 저장
- 비동기 처리
## 10. 데이터 품질 관리
### 10.1 검증 규칙
- **완전성**: 필수 필드 확인
- **정확성**: 크로스 체크
- **일관성**: 논리적 검증
- **적시성**: 업데이트 주기
- **유일성**: 중복 제거
### 10.2 품질 모니터링
- 자동화된 품질 검사
- 이상치 탐지
- 데이터 계보 추적
- 품질 대시보드
- 정기 감사
## 11. 보안 및 규정 준수
### 11.1 데이터 보안
- API 키 인증
- 데이터 암호화
- 접근 권한 관리
- 감사 로깅
- DDoS 방어
### 11.2 규정 준수
- 개인정보보호법
- 자본시장법
- 데이터 라이선스
- 저작권 보호
- 내부자 거래 방지
## 12. 모니터링 및 운영
### 12.1 시스템 모니터링
- API 응답 시간
- 데이터 수집 상태
- 오류율 추적
- 리소스 사용률
- 가용성 모니터링
### 12.2 비즈니스 모니터링
- 사용량 분석
- 인기 종목 추적
- 데이터 품질 지표
- 사용자 패턴 분석
- 수익성 분석
## 13. 상세 개발 로드맵 (총 12주)
### 🏗️ Phase 1: 프로젝트 기초 구축 (1-2주차)
#### Week 1: 환경 설정 및 기본 구조
**목표**: 개발 환경 구축 및 프로젝트 기본 골격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개발 환경 설정
- Python 3.11+ 환경 구성
- 가상환경 생성 및 기본 패키지 설치
- IDE 설정 (VS Code/PyCharm)
- Git 저장소 초기화 및 브랜치 전략 수립
- [ ] **Day 3-4**: 프로젝트 구조 생성
```bash
# 디렉토리 구조 생성
mkdir -p src/{tools,collectors,analyzers,models,utils}
mkdir -p tests/{unit,integration,e2e}
mkdir -p docs/{api,architecture,deployment}
mkdir -p scripts/{setup,data_migration,deployment}
```
- requirements.txt 작성
- config.py 기본 설정 구성
- 로깅 시스템 설정
- 기본 예외 클래스 정의
- [ ] **Day 5**: 핵심 의존성 설치 및 테스트
- mcp-python SDK 설치 및 테스트
- PostgreSQL/Redis 연결 테스트
- 기본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설정
**완료 기준**:
- 프로젝트가 오류 없이 실행됨
- 기본 테스트가 통과함
- CI/CD 파이프라인 기본 구성 완료
#### Week 2: 데이터베이스 및 기본 MCP 구조
**목표**: 데이터 저장소 구축 및 MCP 서버 기본 틀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현
- PostgreSQL 테이블 생성 스크립트 작성
- 인덱스 및 제약조건 정의
- 샘플 데이터 준비
-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도구 설정
- [ ] **Day 3-4**: MCP 서버 기본 구조
- server.py 메인 파일 구현
- 기본 MCP 프로토콜 핸들러 구현
- 도구 등록 시스템 구축
- 오류 처리 및 로깅 미들웨어
- [ ] **Day 5**: 첫 번째 도구 구현
- get_company_overview 기본 구현
- 간단한 DART API 연동
- 기본 응답 포매팅
- 통합 테스트
**완료 기준**:
- 데이터베이스가 정상 작동함
- MCP 서버가 기본 요청을 처리함
- 최소 1개 도구가 동작함
### 📊 Phase 2: 핵심 도구 구현 (3-5주차)
#### Week 3: 기업 정보 및 재무 도구
**목표**: 기업 기본 정보와 재무제표 관련 도구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get_company_overview 고도화
- 기업 기본 정보 수집 (DART API)
- 업종 분류 및 매핑
- 연혁 정보 파싱
- 계열사 정보 수집
- [ ] **Day 3-5**: get_financial_statements 구현
- 재무제표 데이터 수집 (DART)
- 계정과목 표준화
- 연결/별도 구분 처리
- 분기/연간 데이터 통합
- 재무비율 계산 엔진
**완료 기준**:
- 모든 상장사 기본 정보 수집 가능
- 3개년 재무제표 데이터 제공
- 주요 재무비율 자동 계산
#### Week 4: 주주 및 사업부문 도구
**목표**: 지배구조와 사업 세그먼트 분석 도구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3**: get_shareholder_info 구현
- 대주주 현황 수집
- 주식 분포 분석
- 지배구조 지표 계산
- 배당 이력 수집
- [ ] **Day 4-5**: get_business_segments 구현
- 사업보고서 파싱
- 부문별 실적 추출
- 매출 구성 분석
- 성장률 계산
**완료 기준**:
- 주주 현황 정확히 표시
- 사업부문별 상세 분석 제공
#### Week 5: 시장 분석 도구
**목표**: 동종업계 비교 및 애널리스트 정보 도구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3**: get_peer_comparison 구현
- 동종업계 기업 자동 매핑
- 재무지표 비교 분석
- 상대적 순위 산출
- 벤치마킹 리포트 생성
- [ ] **Day 4-5**: get_analyst_consensus 구현
- FnGuide API 연동
- 애널리스트 의견 수집
- 컨센서스 계산
- 목표주가 통계
**완료 기준**:
- 동종업계 비교 분석 완료
-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정확히 제공
### 🔧 Phase 3: 고급 분석 엔진 (6-8주차)
#### Week 6: 밸류에이션 엔진
**목표**: 종합적인 기업가치 평가 시스템 구축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get_valuation_metrics 기본 구현
- 주가 배수 계산 (PER, PBR, PSR)
- 기업가치 배수 (EV/EBITDA)
- 히스토리컬 밴드 분석
- [ ] **Day 3-5**: DCF 모델 구현
- 현금흐름 예측 모델
- 할인율 계산 (WACC)
- 터미널 밸류 계산
-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
**완료 기준**:
- 다양한 밸류에이션 지표 제공
- DCF 기반 적정주가 산출
#### Week 7: ESG 및 기술적 분석
**목표**: ESG 평가와 기술적 지표 분석 도구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3**: get_esg_info 구현
- ESG 평가 데이터 수집
-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파싱
- ESG 점수 표준화
- 개선 추이 분석
- [ ] **Day 4-5**: get_technical_indicators 구현
- 주가 기술적 지표 계산
- 이동평균, RSI, MACD 등
- 지지/저항선 계산
- 차트 패턴 인식
**완료 기준**:
- ESG 종합 평가 제공
- 주요 기술적 지표 분석
#### Week 8: 리스크 분석 엔진
**목표**: 종합적인 투자 리스크 평가 시스템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3**: get_risk_analysis 구현
- 시장 리스크 계산 (베타, VaR)
- 재무 리스크 평가
- 사업 리스크 분석
- 신용 리스크 모델
- [ ] **Day 4-5**: 통합 리스크 스코어
- 리스크 팩터 가중치 설정
- 종합 리스크 등급 산출
- 리스크 시나리오 분석
- 리스크 경고 시스템
**완료 기준**:
- 다차원 리스크 분석 완료
- 통합 리스크 스코어 제공
### ⚡ Phase 4: 성능 최적화 및 품질 개선 (9-10주차)
#### Week 9: 데이터 수집 자동화
**목표**: 효율적인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배치 수집 시스템
- 스케줄러 구현 (APScheduler)
- 증분 업데이트 로직
- 실패 복구 메커니즘
- 데이터 검증 파이프라인
- [ ] **Day 3-4**: 캐싱 시스템 고도화
- Redis 클러스터 설정
- 캐시 무효화 전략
- 캐시 히트율 최적화
- 캐시 워밍 구현
- [ ] **Day 5**: 성능 프로파일링
- 병목 지점 식별
- 쿼리 최적화
- 인덱스 튜닝
-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
**완료 기준**:
-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 파이프라인
- 90% 이상 캐시 히트율 달성
#### Week 10: 데이터 품질 및 테스트
**목표**: 데이터 품질 보장 시스템 구축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데이터 품질 검증
- 데이터 완전성 체크
- 이상치 탐지 알고리즘
- 크로스 소스 검증
- 품질 지표 대시보드
- [ ] **Day 3-4**: 테스트 커버리지 확대
- 단위 테스트 완성도 90% 달성
-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구현
- E2E 테스트 자동화
- 성능 테스트 구현
- [ ] **Day 5**: 문서화
- API 문서 자동 생성
- 사용자 가이드 작성
- 개발자 문서 정리
- 운영 매뉴얼 작성
**완료 기준**:
- 데이터 품질 95% 이상 보장
- 테스트 커버리지 90% 달성
### 🚀 Phase 5: 배포 및 운영 (11-12주차)
#### Week 11: 운영 환경 구축
**목표**: 프로덕션 환경 배포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인프라 설정
- Docker 컨테이너화
- Kubernetes 배포 설정
- 로드 밸런서 구성
- SSL 인증서 설정
- [ ] **Day 3-4**: 모니터링 및 로깅
- Prometheus + Grafana 설정
- APM 도구 연동
- 로그 수집 시스템
- 알람 설정
- [ ] **Day 5**: 보안 설정
- API 키 관리 시스템
- 접근 제어 설정
- 데이터 암호화
- 보안 취약점 스캔
**완료 기준**:
- 안정적인 프로덕션 환경 구축
-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작동
#### Week 12: 최종 테스트 및 배포
**목표**: 서비스 런칭 및 운영 체계 완성
**세부 작업**:
- [ ] **Day 1-2**: 스트레스 테스트
- 부하 테스트 시나리오 실행
- 동시 사용자 테스트
- 데이터 처리량 테스트
- 장애 복구 테스트
- [ ] **Day 3-4**: 사용자 인수 테스트
- 실제 사용 시나리오 검증
- 피드백 수집 및 반영
- 성능 튜닝
- 최종 버그 수정
- [ ] **Day 5**: 서비스 런칭
- 배포 자동화 실행
- 운영 가이드 최종 검토
- 팀 교육 및 인수인계
- 런칭 후 모니터링
**완료 기준**:
- 서비스 정상 런칭
- 운영 체계 완성
### 📋 주간 체크리스트 템플릿
각 주차별로 다음 체크리스트를 활용:
```markdown
## Week X 체크리스트
### 계획 단계
- [ ] 주간 목표 명확히 정의
- [ ] 세부 작업 우선순위 설정
- [ ] 필요 리소스 확보
- [ ] 의존성 사전 해결
### 진행 단계
- [ ] 일일 진행상황 추적
- [ ] 코드 리뷰 및 테스트
- [ ] 문서화 동시 진행
- [ ] 이슈 및 블로커 즉시 해결
### 완료 단계
- [ ] 모든 기능 정상 동작 확인
- [ ] 테스트 케이스 통과
- [ ] 코드 품질 기준 충족
- [ ] 다음 주 준비사항 점검
```
### 🎯 단계별 성공 지표
**Phase 1 성공 지표**:
- 개발 환경 100% 구축 완료
- 기본 MCP 서버 동작
- 첫 번째 도구 구현 완료
**Phase 2 성공 지표**:
- 8개 이상 주요 도구 구현
- 전체 상장사 데이터 커버리지 80% 이상
- API 응답시간 2초 이내
**Phase 3 성공 지표**:
- 고급 분석 기능 완성
- 밸류에이션 모델 정확도 85% 이상
- 리스크 분석 신뢰도 검증 완료
**Phase 4 성공 지표**:
- 시스템 응답시간 500ms 이내
- 데이터 품질 95% 이상
- 테스트 커버리지 90% 이상
**Phase 5 성공 지표**:
- 서비스 가용성 99.9% 이상
- 동시 사용자 1000명 처리 가능
- 운영 매뉴얼 완성
### ⚠️ 리스크 관리 계획
**주요 리스크 요인**:
1. **데이터 소스 변경**: API 변경 대응 계획 수립
2. **성능 이슈**: 병목 지점 사전 식별 및 대안 준비
3. **법적 규제**: 데이터 사용 라이선스 사전 확인
4. **기술적 복잡도**: 단계적 구현 및 MVP 접근
**완화 전략**:
- 주간 리스크 리뷰 미팅
- 백업 데이터 소스 확보
- 기술 스파이크 사전 수행
- 외부 전문가 자문 확보
## 14. 예상 투자 효과
### 14.1 정량적 효과
- **분석 시간 단축**: 80% 감소
- **데이터 정확도**: 95% 이상
- **커버리지**: 전 상장사 100%
- **업데이트 주기**: 실시간~일간
- **API 응답속도**: <500ms
### 14.2 정성적 효과
- 투자 의사결정 품질 향상
- 리스크 관리 강화
- 새로운 투자 기회 발견
- 자동화된 모니터링
- 규정 준수 강화
이 MCP 서버를 통해 투자자들은 종목에 대한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.